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갑작스러운 입원이나 건강검진으로 수입이 끊길까 걱정되시나요?
    서울시가 이런 불안감을 덜어드리기 위해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일용직, 특고, 프리랜서, 1인 자영업자 등 노동 사각지대에 있는 분들을 위한 실질적인 생활 지원책으로 신청만 잘하면
    하루 9만 원 이상, 최대 14일까지 지원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기회를 놓치기 전에 아래에서 바로 확인해보세요!

     

     

    입원생활비 지원제도

    1.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제도란?

     

    서울시에 거주하며 근로활동 중인 저소득 시민에게 입원으로 인해 수입이 끊기는 시민들을 위해 서울시가 마련한 새로운 복지 정책으로 프리랜서, 일용직, 1인 자영업자 등 고정적인 소득이 없는 시민을 대상으로 하며, 입원중 생계 걱정을 덜어주는 실질적인 정책입니다. 

    2. 지원대상 및 조건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분이 대상입니다.
    1. 서울시 거주자 (진료일 기준 30일 전부터)
    2.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
    3. 최근 3개월 중 24일 이상 근로 또는 45일 이상 개인사업 활동자
    4.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재산 3억5천만 원 이하

     

    가구원 수 2025년 중위소득 기준 (월)
    1인 가구 2,392,013원
    2인 가구 3,932,658원
    3인 가구 5,025,353원
    4인 가구 6,097,773원
    5인 가구 7,108,192원

     

     

    3. 지원 금액 

    지원은 최대 14일, 하루 94,230원(2025년 기준)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입원 연계 외래진료도 포함되어 총 13일(입원+외래), 건강검진은 1일 지원됩니다.

     

    4. 지원 제외 대상자

    - 미용, 성형, 출산, 요양 목적 입원
    - 요양병원 및 조산원 입원
    - 생계급여, 실업급여, 산재보험금 수급자
    - 외국국적자
    - 타인 명의 계좌만 있는 경우 (대리신청은 방문만 가능)

     

    5. 신청방법 및 절차

    1. 퇴원 또는 건강검진일로부터 180일 이내 신청
    2. 신청 방법: 온라인 또는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신청 바로가기 
    3. 필요 서류: 입원확인서, 소득증빙서류, 건강보험 자격확인 등
    4. 지급은 서울시 생활임금 기준으로 입금됨 (2025년 1일 94,230원)

     

    6. Q&A

    Q1. 건강검진 받았는데 정말 돈을 주나요?

    ➡️ 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경우 1일 생활임금(2025년 기준 94,230원)을 지급합니다.

     

    Q2. 입원한 가족이 지원 대상인가요?

    ➡️ 본인 기준의 지원이므로, 가족이 아닌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하며 모든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Q3. 입원했는데 외래진료도 지원되나요?

    ➡️ 네, 입원과 동일한 질환으로 입·퇴원 전후 90일 이내의 외래진료도 포함되어 총 13일까지 지원됩니다.

     

    Q4. 법인 대표인데도 신청할 수 있나요?

    ➡️ 아니요, 법인사업자와 임대사업자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5. 온라인 신청 시 유의할 점은?

    ➡️ 본인 명의 계좌가 있어야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며, 대리 신청이나 타인 명의 계좌는 반드시 방문 접수가 필요합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서울시가 시민의 건강과 생계를 동시에 챙기고 있습니다.
    입원이나 검진으로 소득이 끊겨 고민이었다면 이 제도가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주저하지 말고 오늘 바로 확인하고, 필요 서류를 준비해 신청해보세요!

     

     


     

     

    반응형